* 산출 공종 안내 * more
1. 조달청 교육청 준공사 건축내역 전문
2. 건설사 (APT 주상복합 공장) 실행 예산
3. LH공사 (APT 일반건물) 납품용 내역 작성
4. SH공사 (APT 일반건물) 납품용 내역 작성
5. 해외프로젝트(공항, PLANT 등 영문 내역 작성)

철골공사
📝 2. 철골공사 수량산출기준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2018-07-24 10:50:44 조회 hits: 10,625 댓글 0

본문

2. 철골공사 수량산출기준

1) 일반사항

. 평먼도 및 단면도의 부재간 중심선을 파악하여 구조물 형성을 이해

. 물량산출을 하기 전에 강재의 규격에 따른 분류 여부를 확인하고 부재간 연결부위 상세를 확인

. 물량산출은 철골세우기 순서에 의해 기호 순으로 주재부터 산출하며, 부속 자재도 상세를 참조하여 함께 산출

. 산출순서 예

 ① 사무실 구조 : COLUMN SUB COLUMN GIRDER BEAM BRACE 계단

                       →기타구조

 ② 공장 구조 : COLUMN SUB COLUMN GIRDER BEAM 지붕 TRUSS BRACE 띠장(GIRTH)

                               기타구조

. 도면 정미량에 다음표의 값 이내의 할증율을 가산하여 소요량 산출

 ① 강재류의 할증율

 종  류

할증율(%) 

 종  류

할증율(%) 

 대형 형강

 7

 경 량 형 강

 5

 소형 형강

 5

 강 관, 각 관

 5

 봉  강

 5

 일 반 볼 트

 5

 평  강

 5

 고장력볼트(H.T.B)

 3

원형철근 

 5

 이 형 철 근

 3 

 

 

 ② 자재할증 산정 시 대형형강 기준은 H형강(H-BEAM)이며 소형형강은 H형강을 제외한 나머지 형강을

     ​(형강,   ㄷ형강.) 소형형강으로 구분

 ③ 자재단가 산정시 대형형강은 공칭치수 기준으로 400*400, 700*300, 800*300이며 이외의 H형강은 소형으로

     구분하여 소형형강 단가를 적용

 ④ Built Up BEAM의 경우 자재단가는 H형강중 대형형강 기준, 자재할증은 7%를 기준으로 적용

 

2) 각종 볼트류(일반볼트, 고장력볼트, T.S볼트) (EA)

. 볼트의 종류는 일반 볼트(C-BOLT), 고장력 볼트(H.T.B), 조임 강도확인 볼트(T.S.BOLT)가 있으며, 볼트종류별

     ​구분하여 개수로 산출

. 종류별, 길이별, 규격별 구분하여 산출하며, 볼트 길이는 접합부재 총두께와 여장길이를 합한 길이(MM)로 산출

. 자재비만 산출하며 인건비는 철골세우기 단가에 포함이므로 별도 산출 안함

 

3) 앵커볼트 (EA)

. 규격별, 직경별, 길이별 구분하여 정미량에다가 할증을 더하여 수량을 산출

. BASE BLATE 수량 X BASE PLATEANCHOR 수로 산출 적용

 

4) 철공가공조립 (ROLL-BEAM) (TON)

. 총 철골 산출 자재의 정미종량에서 현장 조립시 부속되는 부속자재(각종 볼트류)를 제외한 중량

 

5) 철골가공조립 (Built Up) (TON)

. 철골물량중 BUILT-UP 물량적용

. 단가에는 BUILT-UP 제작비와 철골가공조립비로 분리하여 산출

 

6) 철골세우기 (경비포함) (TON)

. BUILT UP BEAM 의 철골가공조립 물량을 포함한 전체 철골가공조립 물량

 

7) 철골대운반 (가공장 현장) (TON)

. 가공장에서 현장으로 운반비용

. 철골세우기 물량과 동일 물량적용

 

8) 철골곡면가공비 (TON)

 

9) 내화피복제 (M2)

. 내화피복은 콘크리트피복외에 주로 내화페인트와 내화뿜칠로 구별하며 현장여건을 감안하여 선택

. 규격별, 내화시간별 구분하여 정미면적으로 산출

. 노출되는 기둥, 보의 표면적으로 산출

. 일반사항

 ① 공장의 경우에 편의성이나 내구성 때문에 내화페인트를 가장 많이 사용하며, 2,000M2 이상의 공장 기둥에

     적용하며 높이에 관계없이 콘크리트 바닥슬라브 상부에서 트러스 상단까지 실 표면적으로 산출

 ② 단층공장의 지붕 트러스의 경우에는 대게 높이가 4M이상이므로 내화페인트를 하지 않아도됨

 ③ 사무동이나 도장공장처럼 중층이 있는 부위의 보는 원칙적으로 내화페인트 또는 내화뿜칠을 시공

 ④ 데크플레이트의 경우에는 얇은 부분의 두께가 100MM 이상이 되지 않을 경우에는 내화페인트 또는

     내화뿜칠을 시공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고파트
주소영역
Copyright(c) (주)현대HD적산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