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출 공종 안내 * more
1. 조달청 교육청 준공사 건축내역 전문
2. 건설사 (APT 주상복합 공장) 실행 예산
3. LH공사 (APT 일반건물) 납품용 내역 작성
4. SH공사 (APT 일반건물) 납품용 내역 작성
5. 해외프로젝트(공항, PLANT 등 영문 내역 작성)

가설공사
📝 2. 가설공사 수량산출기준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2018-07-23 16:37:50 조회 hits: 13,089 댓글 0

본문

​​​

2. 가설공사 수량산출기준

1) 먹매김 (구조용) (M2) : 연면적

 

2) 먹매김 (마감용) (M2)

. 공장건물 : 마감공사가 없는 공장동 및 각종 유티리티동(변전실,펌프실,원동기실)은 제외하고 마감공사를

     진행하는 사무동, 화장실, 식당동의 면적만 합산하여 적용

. 공동주택 및 일반건물 : 연면적

 

3) 수평보기 (M2) : 먹매김(구조용)에 포함, 별도 산출안함

 

4) 수평평규준틀(개소), 수평 귀규준틀 (개소) : 먹매김(구조용)에 포함, 별도 산출안함

 

5) 강관쌍출비계 (외부) (M2)

. 외부중심선에서 0.9M이격하여 설치

. 비계 높이 : 경사지붕일 경우 처마선 + 1.0M, 평지붕일 경우 파라펫 상단 + 1.0M

. 산출 기준 : {외부둘레길이 + (8 * 0.9)} * (높이 + 1.0M)

. 공제면적 : GANG FORM SYSTEM FORM 적용부위

. 설치기준 : 아파트 외부는 G/F으로 산출하며 마감은 페인트 이외의 마감공사 부위에 한하여 산출

                    아파트 저층이 필로티일때는 2GANG FORM 설치를 위해 비계산출

                    ② 최상층 옥탑부 및 주출입구 돌출구 부위 산출

                    ③ 지하주차장 외부 : 지하 2층 이상일 경우 산출 (지하1층일때는 미산출)

                    ④ 상가 및 부속동 : 외부 비계 산출 

. 추가면적 : GANG FORM시공시 저층부에 별도 마감이 있을 경우(타일, 석재 등)

                    ② 지하구조물중 층고 H = 4.0M 초과인 경우 (지하주차장도 포함)

. 작업발판 설치 인건비 포함 작업발판 (EA) 는 자재비 손료만 계상

. 비계는 규격란에 저층부용, 옥탑용, 주출입구용, 지하층용등으로 구분하여 물량 산출

. 마감용 비계 산출시에는 발판을 포함한 시스템 비계로 산출하며 규격란에 필히 마감용이 라 표기

 

6) 강관외줄비계 (외부) (M2) 산출 안함

. ,저층으로 경랑재를 사용하는 외장공사에 적용

. 외벽중심선에서 0.45M 이격하여 설치

. 비계 높이 : 경사지붕일 경우 처마선 + 1.0M, 평지붕일 경우 파라벳 상단 + 1.0M

. 산출 기준 : {외부둘레길이 + (8 * 0.45)} * (높이 + 1.0M)

 

7) 강관비계다리 (개소)

. 자재운반용 경사로이며 경사형 및 계단형으로 구분하며 단가에는 강관파이프 및 안전발판등

     자재단가 포함으로 적용

. 산출기준

 ① 지하층 외벽 층고가 4.2M 초과일 때 바닥 면적 1,600M2 마다 1개소 산출

 ② 옥탑층이 5M 이상 및 2개층 이상일 때 옥탑개소당 1개소 산출

 ③ 주동출입구 개소당 1개소 산출

 

8) 내부수평비계 (M2)

. 층고 4.2M이상 부위의 마감공사를 위한 가설공사로써 상부층 바닥면적의 90%로 산출

. 최상층세대의 다락방, 1층의 복층구조평면, 기계실 및 저수조 층고가 4.2M 이상일 때 산출

     단, 마감공사 단가에 발판비용 포함시 산출제외

 

9) 작업발판 (EA)

. 비계설치시 사용되는 발판으로 SIZE400*1829으로 적용하고 자재비만 산출

     ​(설치비는 외부비계설치단가에 포함)

. 외부쌍줄비계 1단에 2줄을 적용 산출

. 설치길이는 쌍줄비계 설치바닥에서 H:1.8M 간격으로 하여 각각의 비계길이를 더하여 산출

. 산출기준 : {외부 쌍줄비계 설치길이/1.8M(발판길이)}*2

 

10) 강관동바리 (M2)

. 4.2M 이하 시 산출하며 4.2M 초과 시 시스템동바리를 적용

. 산출기준 : 상부층 바닥면적(시공면적)*90%

. 철골조 바닥CON'C 타설시는 DECK의 형태 및 공법에 따라 동바리여부를 결정

. AL폼 적용 부위 및 미적용 부위 분리하여 수량 산출 (AL폼 연간단가에 동바리 자재 포함)

      ​AL폼 적용부위는 자재비를 제외한 인건비만 적용

 

11) 시스템동바리 (M3)

. 층고4.2M 초과하는 바닥면적 중 필로티, 기계전기실, 주상복합 TRASFER층바후등 층고가 상당하고

     타설하중 등을 감안 구조 검토를 통하여 시스템비계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부분에 적용

. 산출기준 : 상부층 바닥면적(시공면적) * 높이 * 90%

. 보하부만 시스템 동바리 설치시 현장여건 감안하여 산출

 

12) 철골 안전시설 설치 및 해체 (M2) : 안전관리비에서 산출, 건축공사에서 별도 산출안함

     산출방법 : 소요바닥 정미면적

 

13) 낙하물방지망 (M2) : 안전관리비에서 산출, 건축공사에서 별도 산출안함

. 고층작업시 낙하 및 비산물로부터 안전을 목적으로 설치

. 지상 3.5M에 설치(혹은 2층바닥에 설치)하고 그 위에는 10M마다 추가 설치

. 산출방법 : (건물외벽 또는 외부비계의 외주길이) * (3.0M)

 

14) 방진망설치 (M2)

. 외벽시공시 비산물의 낙하에 대한 안전을 목적으로 설치하며 공통가설에서 산출하지 않고 가설공사에서 산출

. 산출기준 : 巿이상 및 민원예상지역은 동을 마주한 면을 제외한 전면설치, 기타지역은 단지 외부와

                    면한 1개면만 설치

 

15) 방진망설치 (갱폼) (M2)

. 갱폼시공시 갱폼외부에 방진망 설치

. 산출기준 : 갱폼 둘레길이(M) * 갱폼높이(9.9M)

 

16) JACK SUPPORT (EA)

. 지하주차장 GIRDER(기둥과 기둥사이)에는 2EA, BEAM(GIRDERGIRDER사이)에는 1EA씩 산출

. 자재비단가는 존치기간을 반영한 임대단가를 적용

. 구조검토에 따라 수량의 가감적용 가능

     → 이동하중, 주차장 상부화단하중, 고하중보(TRANSFER)등 고려

. 산출기준 : 존치기간별 및 높이별 산출(H = 층고 - 보높이)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고파트
주소영역
Copyright(c) (주)현대HD적산 All rights reserved.